사업소개 (한국정책분석학회 학회소개)

KAPAE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학회소개 Introduction

자료검색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사업계획

 

 

 

1. ‘23년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

대주제: 위기와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정책분석평가 패러다임의 탐색

세주제: 윤석열 정부와 평가패러다임, 지방공기업의 역할과 평가전략, 정부업무평가의 새로운 방향, 지방자치단체 평가체계 개편, 공공기관평가 전략·모형·지표, 주요정책(경제, 국방, 교육, 산업, 복지, 환경 등)평가, 기후변화정책평가, 안전정책 및 사업평가, R&D평가 패러다임 모색, 신진학자의 연구주제, 정책분석평가의 가치와 철학, 정책분석평가 방법론 모색

춘계학술대회

-주제: 위기와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정책분석평가 패러다임의 탐색1: 가치, 목표, 이론

-일시 및 장소: 2023331일 건국대학교

하계학술대회

-주제: 위기와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정책분석평가 패러다임의 탐색2: 이론, 전략, 방법

-일시 및 장소: 2023825일 고려대학교

추계학술대회

-주제: 위기와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정책분석평가 패러다임의 탐색3: 이론, 모형, 지표

-일시 및 장소: 20231025-26일 제주대학교

동계학술대회

-주제: 위기와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정책분석평가 패러다임의 탐색4: 환류와 미래

-일시 및 장소: 2023128일 서울대학교

 

2. 특별위원회 운영

2023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는 설립취지인 공공정책분야의 과학적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이론, 모형과 활용방법 등의 연구 개발 및 관련사업 추진하여 한국정책과학의 학분적 발전과 실용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13개의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함

 특별위원회

방법론교육 특별위원회 위원장

권향원(아주대)

평가제도개선 특별위원회 위원장

이환성(한국행정연구원)

평가생태계 특별위원회 위원장

이석환(국민대)

정부업무평가제도연구 특별위원회 위원장

주효진(가톨릭관동대)

지방자치단체평가연구 특별위원회 위원장

신열(목원대)

공공기관평가제도연구 특별위원회 위원장

박형준(성균관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연구 특별위원회 위원장

김국진(인천대)

보건복지사업평가연구 특별위원회 위원장

이주하(동국대)

산업 및 안전정책평가연구 특별위원회 위원장

사득환(경동대)

기후변화정책평가연구 특별위원회 위원장

이응균(고려대)

KAPAE 특별위원회 위원장

이혜영(광운대)

정책분석평가 학술진흥 특별위원회 위원장

권혁성(아주대)

신진학자 특별위원회 위원장

조병우(건국대), 이유현(아주대)


 방법론교육 특별위원회

- 최신의 방법론 트랜드 및 분석기법을 소개하는 춘하추동 기획세션 구성

- 과학적 분석 및 평가이론, 모형 등에 관한 특별세미나 기획

- 정부 및 부처 평가 및 조직 등 분석하는 방법론 특별세미나 운영

 신진학자 특별위원회

- 신진학자 세션 운영

- 신진학자들이 참여하고 주도할 수 있는 학회 분위기 조성

- 신진학자 특별 세미나를 통해 교류 활동 진행

 

3. 온라인 카패(KAPAE) 개최

연간 4회의 정기학술대회 외에도 소통을 부담없이 이어가기 위하여, 언택트 기술을 활용하여 온라인 포럼을 개최

코로나 등 오프라인 행사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학자들간 소통의 창구를 열고자 하였으며, 맥락지향성 있는 정책담론을 도모

온라인 카패(KAPAE)를 통해, 시의성 있는 주요 정책의제에 대해 학자들간의 담론을 보다 편하고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예정

 

4. Post-conference Letter 및 학회 소식지 간행

학술대회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Post-conference Letter & Photo를 발간함. 이를 통해 학술대회 성과를 사회적으로 확산함

학회 회원 간의 소통과 학회 활동을 위한 소식지를 발간. 정책분석평가에 관련한 최신 이슈를 다루고, 외국의 사례를 발굴하여 정책분석평가의 틀이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도록 노력을 경주할 예정

 

5. 신진학자,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대회 운영

신진학자, 대학원생들의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 신진학자세션, 대학원생 세션을 운영함

참여동기를 높이기 위해서 신진학자 교류의 시간, 대학원생 대상 우수학술논문 수상제도 등을 운영함